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기 폭발 수중 레포츠! 위험도 순위는?

정보공유

by 멍뭉이꽃밭 2025. 7. 16. 18:16

본문

반응형

뜨거운 여름을 탈출하는 가장 즐거운 방법은 역시 수중 레포츠만한 것이 없죠! 요즘 수중에서 찍은 멋진 사진 한장 남기기 위해 다양한 레포츠에 도전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요, 잘 모르고 섣불리 도전했다가 큰 일이 나는 수중 레포츠! 위험도 순위는 어떨까요? 같이 알아볼까요?

 

우리나라 수중 레포츠 사고 현황

우리나라도 수중 레포츠 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어요 (사진: Pixabay)

 

 

최근 수중 레포츠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관련 사고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제 비영리 기구 THD(Training & Diving Hyperbaric Association)의 리포트와 한국 해양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수중 레저 관련 사고는 140건이나 발생했습니다. 최근에는 수중 레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사고의 위험은 더 커지고 있다고 해요.

사고 발생 주요 원인

  • 부주의와 안전 미준수 (가장 높은 비율) : 사실 원인 규명이 쉽지 않기 때문에 부주의라고 원인을 적는 경우도 많다고 해요.
  • 수영 미숙 : 스노클링 같이 대중적인 레포츠에 아무 준비없이 도전했다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 장비 점검 소홀
  • 음주 후 다이빙 : 다이빙은 맨정신에 해도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행동이에요. 그런데 음주라뇨!
  • 무리한 스케줄
반응형

위험도 순위별 수중 활동 분석

 

1위: 스피어피싱 (가장 위험)

생각없이 쫓다보면 위험에 빠질 수 있는 스피어 피싱 (Pixabay 로부터 입수된  Franziska Stier님  의 이미지)

 

스피어피싱은 수중 활동 중 가장 위험한 활동으로 평가됩니다. 정글의 법칙 김병만 아저씨가 너무도 쉽게 해내기 때문에 수영을 좀 한다 하는 분들이 겁도 없이 도전하는 경우가 있는데, 병만 아저씨 역시 주변에 안전 요원들과 함께 촬영을 할 정도로 안전에 유의하며 한다고 하죠.

 

위험 요소:

  • 물고기 사냥에 대한 집착과 오기
  • 자신도 모르게 한계를 넘는 행동
  • 수면 복귀 시간을 잊기 쉬움
  • 물고기의 날카로운 지느러미로 인한 부상
  • 스피어건 관련 사고 위험

안전 수칙:

  • 반드시 버디와 함께 활동
  • 과도한 웨이트 착용 금지
  • 다이빙 컴퓨터 필수 착용
  • 물고기 사냥에 대한 집착 버리기

 

2위: 스쿠버 다이빙

스쿠버다이빙은 장비의 안전도가 가장 중요해요 (Pixabay 의  Monica Volpin  의 이미지)

 

장비 의존도가 높아 다양한 위험 요소가 존재합니다. 특히 최근 중국산 저가 장비들도 많아 위험요소가 높아졌다고 해요. 이런 장비를 잘못 사용하면 폐가 터질 수도 있다고 하니, 절대 안전이 확인된 장비를 사용하시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안전하게 해야 해요.

 

주요 위험 요소:

  • 장비 결함 및 점검 소홀
  • 나이트로젠 나르코시스 (질소마취)
  • 체내 질소 축적
  • 부력 조절 실패
  • 버디와의 분리

연령별 사고 특징:

  • 50-60대: 높은 사고율
  • 20대: 프리다이빙에서 높은 사고율
  • 남성이 여성보다 사고율 높음

 

3위: 프리다이빙

별다른 장비없이 즐기는 프리다이빙은 많은 훈련과 상황 대처능력이 있어야 안전하게 즐길 수 있어요 (Pixabay 로부터 입수된  Thomas B)

맨몸으로 하는 활동이지만 특별한 위험이 있습니다. 사진에 목숨을 건 분들이 이런 사고를 많이 당한다고 해요. 스쿠버 다이빙과 마찬가지로, 호흡을 잘못하면 폐의 압차이 때문에 자칫 폐손상을 입어 큰 부상에 평생을 고생할 수도 있다고 하니, 전문가의 지도를 꼼꼼히 받고, 안전 수칙에 따라 해야 해요.

 

주요 부상 유형:

  • 폐 압차이
  • 고막 파열
  • 기도 관련 부상
  • 부비동 부상

특징:

  • 사망 사고보다 non-fatal 부상이 많음
  • 대회 참가 시 위험도 증가

 

4위: 스노클링

 

물위에 떠서 물고기를 감상하는 스노클링은 쉽고 편해서 남녀노소가 즐기지요 (Pixabay 로부터 입수된  J. Ketelaars님  의 이미지)

참여자가 많아 절대 사고 건수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하지만 해외 여행 중에 스노클링에 참가했다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아요. 주요 원인은 수영이 미숙한 상태에서 배로부터 멀리 떨어져 파도에 휩쓸려가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반드시 동반자들과 함께 있도록 하고 주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있는지 체크해야 해요. 물고기에 홀려 놀다보면 어느새 길을 잃을 수도 있고, 가이드나 투어 운영 업체에서 세심히 관리하지 않는 경우들이 흔하기 때문이예요.

 

주요 사고 원인:

  • 수영 미숙
  • 파도에 의한 패닉
  • 이안류 대처 미숙
  • 급성 폐부종 (특히 관광객)

 

활동별 안전 수칙

스쿠버 다이빙 안전 수칙

장비 점검 필수사항

  • 공기 게이지 작동 확인
  • 충분한 공기량 확인
  • 공기 오염 여부 점검
  • 레귤레이터 작동 확인
  • 모든 장비 체결 상태 점검

다이빙 전 준비사항

  • 전날 음주 절대 금지
  • 충분한 휴식 취하기
  • 40세 이상은 정기 건강검진 필수
  • 피로 상태에서 다이빙 금지

장비 권장사항

  • SMB(Signal Marker Buoy) 필수 휴대
  • 스노클 항상 지참
  • 롱핀 착용 (상황에 따라)
  • 위험 시 장비 버릴 준비

프리다이빙 안전 수칙

기본 원칙

  • 절대 혼자 하지 않기
  • 웨이트 과다 착용 금지
  • 폐에 공기 가득 채우고 입수
  • 숨을 내쉬고 다이빙 금지

대회 참가 주의사항

  • PADI 2-3레벨, AIDA 2레벨 상태에서는 절대 대회 참가 금지
  • 마스터 과정 완료 후 대회 참가 고려
  • 충분한 지식 습득 후 참가

스노클링 안전 수칙

기본 안전 원칙

  • 절대 혼자 하지 않기
  • 적절한 장비 착용 (마스크, 스노클, 핀)
  • 수영 실력 부족 시 구명조끼 착용
  • 누군가의 감시 하에 활동

장거리 비행 후 주의사항

  • 충분한 휴식 후 활동 시작. 장거리 비행 후 피곤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투어를 참여하다 큰일 납니다.
  • 퍼지 밸브 있는 스노클 사용 고려
  • 호흡곤란 증상 주의

 

모든 활동 공통 안전 수칙

꾸준한 수영 연습으로 체력과 기본기를 키우세요 (Pixabay 의  Jan Haerer  의 이미지)

충분한 수영 능력을 키우세요

  • 평영 완벽 습득 (최소 2-3시간 지속 가능해야....)
  • 자세나 속도보다는 지속 능력 중요
  • 정기적인 수영 연습

체력 관리

  • 규칙적인 운동 습관
  • 심혈관 건강 관리
  • 과도한 스케줄 피하기

 

사고 예방을 위한 기본 원칙

1. 냉정한 판단력 유지

가장 중요한 것은 냉철한 판단력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판단력을 흐리는 요소들:

  • 스피어피싱: 물고기에 대한 집착
  • 프리다이빙: 대회 압박감, 주변 시선
  • 스쿠버 다이빙: 수중 경관에 정신 팔림
  • 장비 조작 미숙

2. 버디 시스템 활용

  • 모든 수중 활동은 버디와 함께, 절대 혼자 하지 마세요
  • 서로의 안전 상태 지속 확인
  • 응급 상황 시 즉시 대응 가능

3. 개인 한계 인정

  • 자신의 실력 객관적 파악
  • 무리한 도전 피하기
  • 안전 마진 충분히 확보

4. 지속적인 학습과 연습

  • 정기적인 안전 교육 참여
  • 장비 사용법 완벽 숙지
  • 응급처치법 습득

연령대별 특별 주의사항

40세 이상

  • 정기 건강검진 필수
  • 심혈관 질환 특별 주의, 제일 사고가 많은 나이대입니다.
  • 충분한 휴식 시간 확보
  • 무리한 스케줄 절대 금지, 당신은 이제 청년이 아니예요

20-30대

  • 객기와 무모함 주의, 올 때는 차례가 있어도 갈 때는 순서가 없습니다.
  • 대회 참가 신중히 결정, 충분히 준비되었는지 체크
  • 기본기 완벽 습득 후 고급 과정 도전

응급 상황 대처법

기절 상황

  • 즉시 수면으로 끌어올리기
  • 기도 확보 후 인공호흡
  • 119 신고 및 병원 이송

장비 고장

  • 침착하게 대응
  • 버디에게 신호
  • 안전한 상승 실시

조류에 휩쓸린 경우

  • 조류에 맞서지 않기
  •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
  • 구조 신호 발송

결론: 안전한 수중 레포츠 즐기기

수중 레포츠의 위험도는 활동의 종류보다는 개인의 준비 정도와 안전 의식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진정한 다이빙 실력이란 얼마나 깊이 잠수할 수 있는가가 아니라, 안전하고 즐겁게 오래오래 다이빙을 즐기는 능력입니다.

마지막 당부

  • 충분한 준비와 연습
  • 안전 장비 완벽 점검
  • 버디와 함께하는 활동
  • 개인 한계 인정
  • 지속적인 학습

이러한 원칙들을 지킨다면 수중 레포츠를 안전하고 즐겁게 즐길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자신의 안전은 자신이 책임진다는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